2019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환경과 조경, No. 373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환경과 조경, No. 373

북한 도시의 축, 광장과 상징 공간

임동우

포스트 평창올림픽

2018년은 한반도에 새로운 물결이 휘몰아친 해다. 베트남에서의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조금 상황이 달라졌지만,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시작되어 올 초까지 이어져 온 남북화해의 흐름은 한반도 혹은 적어도 한국에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햇볕 정책의 성과로 북을 방문해 남북정상회담을 가졌던 2000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당시의 분위기는 조금 더 통일에 대한 염원이 가득했던 것 같다. 그때만 하더라도 통일은 한국인이라면 가질 수밖에 없는 하나의 대전제였다.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떠나, 국민들은 북한을 이해하기 보다는 북한과 통일된 한민족 국가를 만들 수 있다는 정치적 논의를 즐겼던 것으로 기억한다. 근 20년이 흐르고 북한에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논의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두나라가 정치적 통합을 어떻게 하느냐가 아닌 북한 사회의 변화와 자본화, 이러한 변화에 따른 한국과의 교류 가능성, 한국의 경제 성장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즉 한국인들이 진정으로 북한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어떻게 살고 있는지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북한 도시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10여년간 북한의 도시와 건축에 대한 외부 강연을 다녔지만, 작년 한 해처럼 청중들이 북한의 도시, 더 나아가서는 북한의 부동산 투자 가능성에 대해 궁금해한 적은 없었다. 이전에는 대부분의 질문이 "평양은 전기가 잘 안 들어온다던데 엘리베이터는 작동하나요?" 혹은 "어떠한 방식으로 통일 이 돼야 할까요?" 하는 식이었다. 강연 내용과는 별개로 북한에 대한 피상적 호기심에 근거한 질문들이다. 하지만 최근 강연에서는 많은 변화를 느낀다. 북한에 새로운 도시 모델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최근 평양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과연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는 현상일까, 북한에 돈주(북한의 신흥 자본가)가 많아졌다는데 그들을 통해 북한 부동산에 투자하는 중국인이나 외국인은 없는가 등 북한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고 깊어진 질문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덕분인지 더 많은 사람이 북한의 도시와 도시 공간에 대해 알고자 하기도 한다. 사회를 알기 위해서는 도시를 알아야 하고, 또 도시를 이해하려면 그 사회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사회주의 도시의 핵심 공간, 광장

우리가 북한의 도시 혹은 평양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밟아야 하는 과정은 김일성광장에 대한 이해일 것이다. 이 도시 공간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건설적인 한반도의 미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필자는 "우리가 김일성광장을 객관화해 볼 수 있을 때 비로소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 마음을 열 수 있을 것"이라 이야기하곤 한다. 과연 그럴 수 있을지 여전히 의문이지만, 건축과 도시를 다루는 사람의 입장에서 충분히 객관화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믿고 있다.

흔히 그리스의 아고라(agora)나 로마의 포럼(forum)에서 광장의 원형을 찾곤 한다. 이는 단순히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는 도시 공간이었다. 실제로 아고라는 그리스어로 '모이는 곳'이라는 뜻으로, 여러 사라이 모여 시장을 형성하는 곳이었으며 지도자의 연설을 듣는 곳이기도 했다. 그리스어 agorazo는 "I shop (나는 구매한다)"을 의미하고, agoreuo는 "I speak in public (나는 공개 석상에서 이야기한다)"을 뜻하는데, 두 단어 모두 아고라가 그 어원이다.[1] 즉 광장이라는 도시 공간에는 두 가지의 매우 중요한 성격이 함축되어 있는데, 시장과 공공이 그것이다. 특히 시장은 도시의 근본적 기능이기도 하다. 많은 전문가는 생산한 물품을 거래할 공간의 필요성이 도시 발생으로 이어졌다고 본다. 그만큼 시장은 도시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기능이며 도시의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또한 그리스의 민주주의가 아고라 덕분에 가능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로마의 포럼처럼 아고라는 대중이 집결해 연설을 듣고 논쟁하고 토론하는 도시 공간이었다. 그리스의 정치를 발전시킨 물리적 공간 중 하나인 것이다. 렘 콜하스는 프랑스 혁명 등의 시민 혁명은 18세기 건축에서 나타난 발코니 덕분에 가능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혁명가 혹은 지도자가 3~4층 높이의 발코니에 올라 많은 대중을 상대로 연설할 수 없었다면, SNS는 물론 TV나 라디오도 없던 시절에 시민 혁명을 이룰 수 없었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과연 광화문광장이 없었다면 정치 민주화를 위한 혁명을 만들어낼 수 있었을까.

광장의 근원과 기능은 유럽 도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동아시아와는 달리 유럽의 광장은 교황이나 주교가 회중을 모으기 위한 공간, 왕이 군대를 집결시키거나 퍼레이드를 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유럽에서 기원한 사회주의 도시는 이러한 문화적 배경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듯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독은 사회주의 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 디자인의 16가지 원칙(The Sixteen Principles of Design)'을 발표했는데, 그중 여섯 번째 원칙은 다음과 같다. "도시의 중심지는 도시의 핵심 공간을 형성한다. 도심은 도시의 정치적 중심지다. 도심에는 중요한 정치적, 행정적, 문화적 장소가 자리한다. 도심의 광장에서는 정치 데모, 행진, 축제 등이 일어난다. 도심은 가장 중요하고 기념비적 건물로 구성되어야 하며, 도시 계획의 건축적 구성을 지배하고 도시의 건축적 실루엣을 결정해야 한다."[2]

이처럼 사회주의 도시에서는 도시의 중심성에 주목하고 광장의 기능을 강조했다. 상징적 건축물 등으로 구성되는 이 공간에서 정치적 집회나 행진, 축제를 위한 행사가 벌어질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사회주의 도시가 유럽의 도시 문화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광장을 중요시할 수밖에 없었다고 이해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그들은 어떻게 이를 '사회주의화'했을까. 사회주의의 성공 배경을 보면 이해가 쉽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사회주의는 혁명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는 민중의 계몽을 바탕으로 한다. 혁명과 계몽, 두 행위 모두 많은 대중의 집결을 기본으로 한다. 대중을 집결할 수 있는 공간은 광장이 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지도자의 연설을 위한 포디움이 필요하기에 대규모의 상징적 건축물이 함께 따라올 수밖에 없다. 결국 사회주의 도시는 자신이 가진 도시 공간인 광장을 새로운 사회주의식 해석을 통해 사회주의 도시 공간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북한 도시의 광장과 상징 공간

사회주의 도시에서 주장하는 광장의 중요성은 광장 문화가 없던 북한에도 그대로 전달됐다. 한국적쟁 이전에도 일제 식민지기 평양부청으로 사용됐던 건물의 전면을 광장 형식으로 변형해 사용했으며, 전후 복구 과정에서 지금의 김일성광장의 원형을 만들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과정에 참여한 건축가 김정희는 러시아 유학파로서 당시 평양 중심부에 만들어야 할 중심 광장과 상진 건축물의 디자인을 제안한다.[3] 이는 비단 평양에 국한되지 않는다. 앞서 언급했듯 광장은 사회주의 도시를 건설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도시 공간 요소다. 이는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독재자의 산물이나 지도자를 신격화하기 위한 공간이 아니다. 때문에 평양뿐만 아니라 북한의 주요 도시에는 각 도시의 중심 공간에 광장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상징 건축물과 김일성 동상 혹은 기념비 등의 조형물과 함께 구성된다. 그리고 많은 경우 이 광장은 단순히 면적으로 오픈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광장(square)의 의미를 넘어, 선적으로 도시의 축을 형성한다. 특히 바다나 강을 끼고 발달한 도시의 경우, 도시의 광장을 기본으로 형성된 도시의 축은 각기 다른 방식, 즉 수변과 직교하거나 또는 평행을 이루는 방식으로 수공간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은 북한의 광장이 도시내에서 상징성을 갖는 상징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즉 광장은 도시에서 다수 발생할 수 있지만 상징 공간은 유일하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부자의 동상 등을 통해 공간의 상징성을 부각하고 있다.

앞서 김일성광장을 객관적으로 이해해야만 북한 사회를 더 세밀히 이해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남은 지면에서는 그동안 많이 다뤄지지 않은 북한의 광장과 상징 공간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는 김일성광장만을 보고 북한의 광장에 대해 판단하는 오류를 줄이는 동시에, 여러 도시를 살펴봄으로써 북한의 도시 공간 계획이 어떠한 방식 또는 위계로 이루어지는지 탐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청진의 광장과 상징 공간 청진은 동해안을 끼고 발달한 도시로, 함경북도 내에 위치하며 동해안에 면한 도 소재지다. 인구는 약 67만 명으로 북한 도시 중 세 번째로 많으며 행정구역 상의 면적은 1,538km2, 도시화 면적은 약 55km2다.[4] 전체 면적 중 41% 이상이 산악 지형으로 구성된 청진은 제한된 면적에서 강과 운하를 따라 도시가 발달했다. 해방 이후 발달한 도시답게 격자형 도시 조직이 잘 발달된 곳이기도 하다.

청진의 광장은 김일성과 김정일 동상을 기준으로 그 전면에 위치한다. 이 광장은 동해로 뻗는 녹지 공간과 더불어 약 1.7km에 달하는 상징 공간을 형성하는데, 동해안과 직교하는 이도시의 축은 새로운 개발의 중심 지역이 되고 있다. 현재 완벽한 상징 공간의 모습을 갖추지는 못했지만, 청진시 개발총계획도에 따르면 이 공간의 축을 기준으로 주변에 문화 시설과 고층 주거 지가 개발되게 된다. 이미 김일성 부자의 동상 앞 작은 하천이 광장 확장을 위해 복개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부 주거 시설 역시 개발되어 있는 상황이다.[5]

함흥의 광장과 상징 공간 함흥은 인구가 76만 명에 달하며 평양 다음으로 북한에서 가장 큰 도시다. 함흥 역시 동해안을 끼고 발달한 도시지만, 대부분의 도시 조직은 성천강을 따라 약 12km 정도 내륙에 들어온 형태로 발달했다. 도시화 면적은 약 48.5km2이며, 주로 강 동쪽이 발달했고 강의 서쪽은 대부분 농경지다. 함흥의 도시 축을 형성하는 중요한 두 개의 인프라는 성천강을 가로지르는 철로와 이와 평행한 만수다리가 있는 도로다. 함흥 도심에 있는 세장형 아파트 대부분이 이 도로에 면하여 개발되어 있다. 청진만큼 격자형 구조가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함흥에서 어는 정도 도시의 축을 읽어낼 수 있는 이유는 이 두 개의 강한 선형 인프라 때문이다.

함흥의 광장은 북한에서 가장 큰 극장인 함흥대극장과 전면의 기념비를 사이에 두고 발달했다. 청진의 상징 공간이 해안을 향해 뻗어 있다면, 함흥청년공원과 광장으로 구성되는 함흥의 상징 공간은 성천강에 직교하는데 성천강이 아닌 그 반대 방향으로 발달해 있다. 그곳에는 함흥인민경기장 등 사회주의 도시에서 이야기하는 도시 중심부 및 광장에 필요한 기념비, 문화시설, 인민들을 위한 공공시설이 모두 배치되어 있다.[6]

신의주의 광장과 상징 공간 함흥처럼 상징 공간이 수변에 직교하지만 수변과 반대 방향으로 그 축이 발달하는 경우가 또 있다. 바로 신의주의 경우다. 신의주의 도시 광장은 신의주역 앞의 광장과 김일성 동상, 신의주 역사박물관 등으로 구성된다. 신의주는 철로의 발달이 도시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도시인 만큼 격자 체계가 철로의 방향과 일치한다. 이 격자 체계는 일제식민지기에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경의선이 가로지르는 철로의 남서쪽은 1930년대에 이미 완성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경의선 북동쪽 지역이 개발되는데, 이 역시 남서쪽 지역의 축을 반영한다.

신의주의 상징 공간 역시 이 축을 바탕으로 한다. 경의선을 따라 발달한 상징 공간의 축은 신의주역 광장과 공원까지 포함하면 약 1.5km에 달하는 긴 세장형 공간을 형성한다. 상징 공간의 축이 도시를 관통하는 철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는 함흥에서도 나타나지만, 이처럼 철로 변으로 상징 공간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공개된 신의주 총개발계획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상징 공간 인근에 고층 아파트를 배치하는 등 상징 공간의 가치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7]

원산의 광장과 상징 공간원산은 신의주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도시다. 다른 점이 있다면, 원산은 철로가 아니라 해안이 도시의 주요 축을 설정하기 때문에 관장과 상징 공간이 해안의 수변 축과 평행하게 발달했다. 일제 식민지기부터 항만 도시로 발달한 원산은 세관이 있었던 장소이기도 하며, 현재는 이 세관 인근의 항만을 이용해 상징 공간을 구성했다. 원산의 도시 조직은 격자형보다는 노드를 활용한 방사형에 가까운데, 이를 감안한다면 원산의 상징 공간은 매우 특징적이다. 도시 조직에서 노드가 갖는 역할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노드를 통한 상징 공간이나 광장을 설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산의 상징 공간은 항만을 활용하여 구성됐다. 아마도 북한에서 생각하는 도시의 상징 공간이 가져야 하는 규모의 논리가 작용한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원산에는 이미 기념비 등이 위치한 노드들이 있지만, 별도의 상징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해안을 따라 발달한 상징 공간에는 김일성 혁명사적 박물관과 김일성-김정일 동상이 있으며, 이는 원산박물관에서 시작하여 반대편의 기념비까지 1km 정도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8]

사회주의 도시 공간의 딜레마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광장은 사회주의 도시에서 매우 중요한 공간이며, 많은 사회주의 도시는 이러한 도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다. 북한의 도시들도 마찬가지다. 전후 복구 과정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평양의 김일성광장은 물론 북한의 여러 도시에서 광장은 도시의 중심 공간 역할을 하며, 나아가 상징 공간으로서 도시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계속해서 발표하고 있는 주요 도시의 개발 계획도에서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나선 특구의 개발 계획이나 청진, 신의주 등의 개발 계획에서도 여전히 광장과 상징 공간이 이루는 도시의 축은 매우 중요한 도시 공간 구성의 원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공간에는 딜레마가 존재한다. 광장이나 상징 공간은 사회주의 도시설계의 중요한 요소로 적용됐지만, 도시 시장화와 자본 논리의 유입으로 공공성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사실이 여타 탈사회주의 도시들, 즉 동유럽이나 러시아 도시들에 의해서 증명됐다. 많은 탈사회 주의 도시 내 공공 공간이 지속적으로 상업화되었으며, 종국에는 유사 공공 공간(pseudo public space)으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녹지 공간 역시 새로운 개발을 위한 유휴 공간으로 인식되었다.[9] 결국 가장 사회주의 적인 도시 공간으로 인식되던 공간이 가장 자본에 취약한 도시 공간이 된 것이다. 어찌 보면 광장의 본래 기능인 공공과 시장의 성격이 다시 사회주의 광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자유 시장을 철저하게 배제했던 사회주의 도시의 광장에는 공공만이 남았었지만, 이제 시장의 논리가 침투하고 있는 것이다.

탈사회주의 도시에서 진행된 공공 관장의 자본화는 우리에게 주요한 질문을 던진다. 과연 북한의 광장들 혹은 상징 공간들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혹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가. 북한의 시장화는 이미 기정사실화됐으며, 북한의 많은 정책과 기조가 시장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최근 평양의 려명거리나 미래과학자거리 등에 등장한 고층 고급 아파트, 교외화(suburbanization) 현상으로 평성 등에 형성되고 있는 고급 주택지는 기존 탈사회주의 도시가 초기 시장화 시기에 겪었던 변화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여전히 광장 및 상징 공간, 즉 시장의 논리에 취약하다고 여겨지는 사회주의 공간 형성에 적극적이다. 경제특구개발계획을 세우면서 북한은 나선, 신의주, 청진 등의 지역별 도시계획을 발표했는데, 이 계획 모도 광장과 상징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미 이러한 공간이 자본의 논리로 잠식되고 있음이 증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에서는 여전히 광장과 상징 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주체사상에 근거한 도시계획을 실천해온 북한이 앞으로도 도시계획 차원에서 광장과 상징 공간을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결국 질문은 앞으로 시장화 가운데 이들 상징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로 치환된다. 뉴욕 센트럴 파크 주변이 그렇고, 서울숲에 면한 주상 복합이 그러하듯, 자본주의 도시에서 광장 혹은 상징 공간은 부동산 가치를 높이는 가장 효율적인 도시 공간이다. 그리고 탈사화주의 도시에서는 쇼핑몰과 같은 상업 시설이 이러한 공간과 그 주변을 잠식했다. 북한의 시장화 역시 광장과 상징 공간 주변을 쉽게 말해 노른자 공간(prime real estate)으로 만들 것이다. 이러한 공간으로의 접근성은 특정 계층에게만 높을 수밖에 없고, 이는 필연적으로 도시 공간의 불균형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사회주의 도시의 장점인 도시의 공공성과 도시 공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이러한 광장과 상징 공간에 대한 접근성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들 공간을 탈중심화(decentralize)할 수 있는 지에 대해 고민해보야야 할 것이다.

1. Sharon Boda, Trudy Ring, and Robert Salkin, eds.,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Southern Europe, Routledge, 1996, p.66.

2. 원문은 다음과 같다. "The center forms the veritable core of the city. The center of the city is the political center for its population. In the city center are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cultural sites. On the squares in the city center are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cultural sites. On the squares in the city center one might find political demonstrations, marches and popular celebrations held on festival days. The center of the city shall be composed of the most important and monumental buildings, dominating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city plan and determining the architectural silhouette of the city." Lothar Bolz, Von deutschem Bauen: Reden und Aufsatze, Berlin(Ost): Verlag der Nation, 1951, pp.32~52.

3. 김정희, 「도시건설」,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 1953.

4. 임동우, 라파엘 루나, 「북한 도시 읽기」, 담디, 2014.

5. 고유환, 박희진, 임동우, 안재섭, 홍민, 기계형, 남영호, 이상준, 북한도시사연구사팀 편, 「함흥과 평성: 공간 일상정치의 도시사」, 한울, 2014.

6. 같은 책.

7. 같은 책.

8. 같은 책.

9. Sonia A. Hirt, Iron Curtains: Gates, Suburbs and Privatization of Space in the Post-socialist City, Wiley-Blackwell, Oxford, 2012.

PRAUD

PRAUD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4길 13

13 Gwangnaruro 4Gil

Seoul, S.Korea [04054]

info@praud.info

+82.2.3144.1226

Applicants for employment or internship:

Please submit your portfolio and CV in digital format no bigger than 5 MB to info@praud.info